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왕조32

조선 19대 왕 숙종: 환국정치를 통한 왕권 강화 조선후기 제19대 왕 숙종은 현종의 외아들로, 재위 시에 붕당정치가 격화하며 당폐가 큰 문제였습니다. 숙종은 환국정치를 통해 이를 해결하고 왕권을 강화하려 하였고, 이 과정에서 많은 명사들이 희생되는 일이 발생하였다. 이러한 정치를 통해 왕권은 강화되었고, 대동법의 확대와 양전사업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상평통보를 통해 상업활동을 지원하는 등 혁신적인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목차여기] 조선 19대 왕 숙종 이순의 배경과 활동사항, 평가숙종의 치세를 대표하는 단어는 '환국'이다. 정치적 국면의 전환은 많은 이들이 희생되었지만, 조선 역사상 가장 강했던 왕권과 그로 인해 다양한 업적을 남길 수 있었다. 숙종 이순의 배경1661년 10월 7일 ~ 1720년 7월 12일조선의 제19대(재위: 1674년~17.. 2023. 11. 14.
조선시대 왕의 계보와 업적 "조선 중기" - 중종부터 현종 조선시대 역대 27대 왕들에 대한 역사의 대해 11대 왕인 중종부터 18대 왕이었던 현종까지 조선 중기에 왕들의 계보 및 업적과 배경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조선시대 왕의 계보와 업적조선시대는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조, 종, 군 이게 무엇인지? 알고 가자.조는 나라를 세웠거나 공이 있는 왕, 종은 덕이 있는 왕, 군은 폐위된 왕으로 왕자의 호칭인 군으로 정함.조선 전기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 조선시대 왕의 계보와 업적 "조선 전기" - 태조부터 연산군조선시대 역대 27대 왕들에 대한 역사의 대해 1대 왕인 태조부터 10대 왕이었던 연산군까지 조선 전기에 왕들의 계보 및 업적.. 2023. 11. 8.
조선 18대 왕 현종: 붕당대립과 국력쇠퇴 현종은 조선 제18대 왕입니다. 즉위 후, 인조 계비인 자의대비의 상복 문제와 관련된 서인과 남인의 대립이 시작되었고, 어머니(인선왕후)의 사망 후 다시 상복 문제로 대립이 심화되었습니다. 붕당대립이 심각하였고, 국력도 많이 쇠퇴하였습니다. 현종은 호남에 대동법을 도입하고, 동활자 주조, 혼천 제작, 지방관 상피법 제정 등의 업적을 남겼습니다.   [목차여기] 조선 제 18대 왕 현종 이연의 배경1641년 3월 14일 ~ 1674년 9월 17일조선의 제18대(재위: 1659년~1674년) 왕능호는 숭릉으로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위치예송논쟁 본관은 전주이며, 이름은 이연이다. 효종의 맏아들로 태어났으며, 어머니는 장유의 딸 인선왕후이다. 비는 김우명의 딸 명성왕후이다. 효종이 봉림대군 시절 청나라 볼모로.. 2023. 11. 6.
조선 17대 왕 효종: 북벌정책, 국방력 강화와 통치정책 효종은 조선의 17대 왕으로, 1649년부터 1659년까지 재위하였습니다. 인조의 둘째 아들로 병자호란 이후 형 소현세자가 갑자기 사망하여 즉위하게 되었습니다. 국방력 강화에 많은 힘을 쏟았고, 북벌 계획을 세웠으나 실제로는 두 차례의 나선정벌(청나라 요청에 의한 러시아군 격퇴) 외에는 북진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습니다. 대동법 확대와 상평통보를 주조하고 통화로 유통시키는 등의 업적이 있다.  [목차여기] 조선 제 17대 왕 효종 이호의 배경1619년 6월 ~ 1659년 6월조선의 제17대(재위: 1649년~1659년) 왕능호는 영릉으로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에 위치병자호란, 나선정벌, 북벌정책 인조의 2번째 아들로 이름은 이호이며, 어머니는 인열왕후 한 씨, 비는 인선왕후이다. 봉림대군에 봉해지고,.. 2023. 10. 31.
조선 16대 왕 인조: 인조반정과 잃어버린 민심 광해군과 북인의 정치와 횡포에 반발하여 서인들과 함께 반정을 일으켜 이후 왕으로 추대되어 조선 16대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왕위에 오르자마자 '이괄의 난'과 이후 정묘호란과 병자호란등으로 인한 국제정세뿐 아니라 민심도 얻지 못하였다.  [목차여기] 조선 제 16대 왕 인조 이종의 배경1595년 12월 7일 ~ 1649년 6월 17일조선의 제16대(재위: 1623~1649) 왕능호는 장릉이며, 경기도 파주시 탄현면 갈현리에 위치인조반정, 이괄의난, 정묘호란, 병자호란, 삼전도의 굴욕 선조의 5번째 아들 정원군의 장남으로 본명은 이종이며, 인헌왕후 구 씨가 어머니이다. 비는 인열왕후 한 씨, 계비는 장렬왕후 조 씨이다. 1607년 능양도정에 봉해졌다가 후에 능양군으로 봉해졌다. ※ 조선왕조 더 보기 ▣  .. 2023. 10. 27.
폐비 윤씨: 연산군 어머니의 비극과 갑자사화 조선 9대 왕 성종의 후궁으로 들어와 왕비가 되고 연산군이 태어나면서 투기심과 잘못된 행동들로 인해 죽음까지 가야 했던 조선 10대 왕 연산군의 어머니이다.   [목차여기] 폐비 윤씨 비극의 시작1473년 성종의 후궁으로 간택되어 입궁하였으며, 입궐 후 검소하고 온화한 태도로 인해 성종의 이쁨을 받았다. 1474년에 왕비였던 공혜왕후가 자녀 없이 사망하였고, 1476년에 윤 씨는 왕비에 자리에 오르게 되었다. 같은 해 연산군도 출산하였는데, 연산군 출산 이후로 비극이 시작되었다. 윤씨는윤 씨는 연산군이 태어난 이후 질투심과 잘못된 행동의 연속이었다. 성종의 후궁들을 음해하고, 독살하려고 하였다. 1479년에는 성종에게 손톱자국을 낸 결정적 사건이 있었는데, 왕에게도 불손하였던 것으로 전해진다. 이후 후궁.. 2023.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