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부네] 지식 창고/역사 이야기

조선시대 왕의 계보와 업적 "조선 중기" - 중종부터 현종

by 흥부네 수호천사 2023. 11. 8.

조선시대 역대 27대 왕들에 대한 역사의 대해 11대 왕인 중종부터 18대 왕이었던 현종까지 조선 중기에 왕들의 계보 및 업적과 배경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중기

 

 

조선시대 왕의 계보와 업적

 

왕의 계보

 

조선시대는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조, 종, 군 이게 무엇인지? 알고 가자.

조는 나라를 세웠거나 공이 있는 왕, 종은 덕이 있는 왕, 군은 폐위된 왕으로 왕자의 호칭인 군으로 정함.

  • 조선 전기: 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
 

조선시대 왕의 계보와 업적 "조선 전기" - 태조부터 연산군

조선시대 역대 27대 왕들에 대한 역사의 대해 1대 왕인 태조부터 10대 왕이었던 연산군까지 조선 전기에 왕들의 계보 및 업적과 배경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시대 전기 왕의 계보

wh-heungbu.tistory.com

 

  • 조선 중기: 중종 - 인종 - 명종 - 선조 - 광해군 - 인조 - 효종 - 현종(중인명선광인효현)

 

  • 조선 후기: ?
 

조선시대 왕의 계보와 업적 "조선 후기" - 숙종부터 순종까지

조선시대 역대 27대 왕들에 대한 역사의 대해 19대 왕인 숙종부터 27대 마지막 왕이었던 순종까지 조선 후기에 왕들의 계보 및 업적과 배경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조선시대 왕의 계보

wh-heungbu.tistory.com

 

 

 

조선 중기 왕의 업적

 

1. 중종 (1506-1544) 이역

 

▣  조선 제11대 왕: 중종반정과 조선시대의 정치 변화

 

조선 제11대 왕: 중종반정과 조선시대의 정치 변화

중종은 조선 제11대 왕으로, 성종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중종반정을 통해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처음에는 문벌세력을 억누르고 왕도정치를 추구했으나, 나중에는 철인

wh-heungbu.tistory.com

  • 배경: 성종의 둘째 아들이며, 중종반정으로 연산군을 쫓아낸 뒤 왕위에 올랐다. 문벌세가를 누르면서 왕도정치를 실현하려고 노력하였다.
  • 업적: 왕권강화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였으나, 사회나 경제적으로도 뚜렷한 업적을 남기지 못하였다.

 

2. 인종(1544-1545)

 

▣  조선 12대 왕, 인종: 조선 왕조 가장 짧은 재위 기간

 

조선 12대 왕, 인종: 조선 왕조 가장 짧은 재위 기간

조선의 12대 국왕은 인종(仁宗)이며, 묘호는 인종입니다. 휘는 '호' 자는 '천윤'이며, 동복형제로는 누나인 효혜공주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재위 기간은 단 8개월로, 조선 왕조 사상에서 가장

wh-heungbu.tistory.com

  • 배경: 1515년(중종 10년) 중종과 장경왕후 윤씨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어머니가 산후병으로 사망하여 친할머니인 정현왕후가 돌봐주었습니다.
  • 업적: 성리학의 기반한 왕도 정치를 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너무나 짧은 시간 재위로 인해 뚜렷한 업적이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3. 명종(1545-1567) 이환

 

▣  조선 13대 왕 명종: 수렴청정, 을사사화, 을묘왜변

 

조선 13대 왕 명종: 수렴청정, 을사사화, 을묘왜변

조선중기의 13대 왕으로, 1545년부터 1567년까지 재위했습니다. 그의 즉위는 인종의 죽음으로 인해 이뤄졌으며 당시 12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주도하

wh-heungbu.tistory.com

  • 배경: 형 인종의 인해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인해 당시 12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주도하였다.
  • 업적: 문정왕후에 수렴청정으로 인하여 자신의 뜻을 펼치지 못하였고, 문정왕후 사후 선정을 하려고 노력하였으나 그마저도 이루지 못하고 승하하였다. 을묘왜변으로 인해 비변사를 설치하였다.

 

4. 선조(1567-1608) 이연

 

▣  조선 제14대 왕 선조: 왜군에 침략과 당쟁 속에서 국가 회복의 노력

 

조선 제14대 왕 선조: 왜군에 침략과 당쟁 속에서 국가 회복의 노력

선조는 조선 제14대 왕으로, 명종의 사망 이후 즉위했습니다. 정국을 활기롭게 하기 위해 이황과 이이를 중용하며 노력했으나, 사림들 사이의 파벌과 당쟁으로 인해 국력이 약화되었습니다. 1592

wh-heungbu.tistory.com

  • 배경: 명종이 후사 없이 죽자 16세로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 업적: 임진왜란, 정유재란 등으로 역사적 상황과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했던 왕입니다.

 

 

5. 광해군(1608-1623) 이혼

 

▣  조선 15대 왕 광해군: 인조반정으로 인한 폐위

 

조선 15대 왕 광해군: 인조반정으로 인한 폐위

조선 제15대 왕인 광해군은 대북계열을 중용하고 정적을 제거하는 데 집착하였고, 인목대비를 유폐하는 상황까지 만들며 정치적 갈등을 일으켰다. 명과 후금의 전쟁에서는 중립적인 입장을 취

wh-heungbu.tistory.com

  • 배경: 임진왜란 당시 국난에 대처하기 위해 평양에서 세자로 책봉되었고, 대북파의 지지를 받아 1608년 왕위에 올랐다.
  • 업적: 국경방위와 외교에 노력을 많이 하였으나, 가족의 도리를 무시하고 불필요한 죽음과 낭비가 많았습니다.

 

 

6. 인조(1623-1649) 이종

 

▣  조선 16대 왕 인조: 인조반정과 잃어버린 민심

 

조선 16대 왕 인조: 인조반정과 잃어버린 민심

광해군과 북인의 정치와 횡포에 반발하여 서인들과 함께 반정을 일으켜 이후 왕으로 추대되어 조선 16대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왕위에 오르자마자 '이괄의 난'과 이후 정묘호란과 병자호란등으

wh-heungbu.tistory.com

  • 배경: 광해군과 북인 정치 횡포에 서인들과 반정을 일으켜 1623년 왕위에 올랐다.
  • 업적: 대동법을 강원도까지 포함시키고 군제를 정비하였지만, 나라의 고통과 민심도 얻지 못하였다.

 

7. 효종(1649-1659) 이호

 

▣  조선 17대 왕 효종: 북벌정책, 국방력 강화와 통치정책

 

조선 17대 왕 효종: 북벌정책, 국방력 강화와 통치정책

효종은 조선의 17대 왕으로, 1649년부터 1659년까지 재위하였습니다. 인조의 둘째 아들로 병자호란 이후 형 소현세자가 갑자기 사망하여 즉위하게 되었습니다. 국방력 강화에 많은 힘을 쏟았고, 북

wh-heungbu.tistory.com

  • 배경: 병자호란 이후 청나라에 볼모로 잡혀갔다가 돌아왔다. 형 소현세자가 있었으나 돌연 사망하여 1649년에 왕위에 오르게 되었다.
  • 업적: 대동법을 충청과 전라까지 확대하고, 상평통보를 주조하고 유통시키는 정책도 추진하였다.

 

8. 현종(1659-1674) 이연

 

▣  조선 18대 왕 현종: 붕당대립과 국력쇠퇴

 

조선 18대 왕 현종: 붕당대립과 국력쇠퇴

현종은 조선 제18대 왕입니다. 즉위 후, 인조 계비인 자의대비의 상복 문제와 관련된 서인과 남인의 대립이 시작되었고, 어머니(인선왕후)의 사망 후 다시 상복 문제로 대립이 심화되었습니다.

wh-heungbu.tistory.com

  • 배경: 효종이 볼모로 청나라에 잡혀있을 때 태어난 맏아들로 유일하게 외국에서 태어나 1659년 왕위에 올랐다.
  • 업적: 대동법을 호남에도 실시하였으며, 경기도에 양전도 실시하였고, 동성통혼도 금지하였다.

 

 

 

어떻게 하다 보니 조선중기까지 왕위에 오른 배경과 업적에 대해서 간략하게 작성하였다. 조선후기도 재미있는 사건들이 많이 있는 것 같아 포스팅하면서 흥미롭게 공부한다는 게 참 좋은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