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조선왕조32

조선 13대 왕 명종: 수렴청정, 을사사화, 을묘왜변 조선중기의 13대 왕으로, 1545년부터 1567년까지 재위했습니다. 그의 즉위는 인종의 죽음으로 인해 이뤄졌으며 당시 12세의 어린 나이로 왕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문정왕후가 수렴청정을 주도하였으며, 외척인 윤원형이 을사사화를 일으켜 반대파를 숙청하고 인사권을 재정비하는 등 횡포가 심했다. 을묘왜변을 계기로 비변사가 설치되었으며, 문정왕후의 영향으로 불교가 부흥하게 되었습니다. 그러나 문정왕후 사후에 선정은 실패로 끝나고, 명종은 34세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목차여기] 조선 제 13대 왕 명종 이환의 배경1534년 7월 13일 ~ 1567년 8월 12일조선의 제13대(재위: 1545년~1567년) 왕능호는 강릉으로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을사사화, 을묘왜변 본관은 전주, 이름은 이환.. 2023. 10. 12.
조선 12대 왕, 인종: 조선 왕조 가장 짧은 재위 기간 조선의 12대 국왕은 인종(仁宗)이며, 묘호는 인종입니다. 휘는 '호' 자는 '천윤'이며, 동복형제로는 누나인 효혜공주가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재위 기간은 단 8개월로, 조선 왕조 사상에서 가장 짧은 재위 기간을 가진 왕 중 하나입니다.  [목차여기] 조선 제 12대 왕 인종 이호의 배경1515년 3월 20일 ~ 1545년 8월 17일조선의 제12대(재위: 1544년~1545년) 왕능호는 효릉으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당동에 위치 본관은 전주이며, 이름은 호입니다. 자는 천윤이고, 어머니는 영돈녕부사 윤여필의 딸인 장경왕후입니다. 비는 첨지중추부사 박용의 딸로, 이름은 인성왕후입니다. 1515년(중종 10년) 중종과 장경왕후 윤 씨의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태몽에서 아이의 이름을 '억명'으로 정하라는.. 2023. 10. 10.
조선 제11대 왕: 중종반정과 조선시대의 정치 변화 중종은 조선 제11대 왕으로, 성종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중종반정을 통해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습니다. 처음에는 문벌세력을 억누르고 왕도정치를 추구했으나, 나중에는 철인 군주정치에 불만을 품고 훈구파를 용인했습니다. 개혁 정책은 약화되고 정치는 혼란스러워졌습니다.  [목차여기] 조선 제 11대 왕 중종 이역의 배경1488년 4월 25일 ~ 1544년 12월 9일조선의 제11대(재위: 1506년~1544년) 왕▣능호는 정릉으로 서울 강남구에 위치중종반정(10대 왕 연산군을 몰아내고 진성대군 이역을 왕으로 옹립한 사건) ▣  기묘사화 (이상적인 개혁정치를 시도하려다 지배층의 반발이 일어난 사건) 본관은 전주이며, 그의 이름은 역이었고, 자는 낙천이었습니다. 어머니는 정현왕후 윤 씨였고, 비는 .. 2023. 10. 5.
조선시대 왕의 계보와 업적 "조선 전기" - 태조부터 연산군 조선시대 역대 27대 왕들에 대한 역사의 대해 1대 왕인 태조부터 10대 왕이었던 연산군까지 조선 전기에 왕들의 계보 및 업적과 배경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목차여기] 조선시대 전기 왕의 계보조선시대는 전기, 중기, 후기로 나눌 수 있습니다. 먼저 조, 종, 군 이게 무엇인지? 알고 가자.조는 나라를 세웠거나 공이 있는 왕, 종은 덕이 있는 왕, 군은 폐위된 왕으로 왕자의 호칭인 군으로 정함. 조선 전기태조 - 정종 - 태종 - 세종 - 문종 - 단종 - 세조 - 예종 - 성종 - 연산군(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조선 중기 조선시대 왕의 계보와 업적 "조선 중기" - 중종부터 현종조선시대 역대 27대 왕들에 대한 역사의 대해 11대 왕인 중종부터 18대 왕이었던 현종까지 조선 중기에 왕들의 계보 .. 2023. 10. 2.
조선 9대 왕 성종의 지식과 문화 향상: '경국대전'과 관학 진흥의 중요성 성종은 법제를 완비하여 '경국대전'과 '대전속록'을 완성하고, 토지의 세습과 관리자들의 부당한 수탈을 막기 위해 관수관급제를 도입하여 민생의 안정을 증진시켰습니다. 또한 사림세력을 활용하여 조선 중기 이후 사림정치의 기반을 강화하고, 관학을 진흥시키며 문화와 지식의 발전에도 기여했습니다.  조선 9대 왕 성종 이혈의 배경과 업적 그리고 평가 [목차여기] 조선 9대 왕 성종 이혈의 배경과 업적 그리고 평가성종 이혈의 배경1457년 8월 28일 ~ 1495년 1월 29일조선의 제9대(재위: 1469년~1494년) 왕.묘효는 성종(成宗), 능호는 선릉(宣陵)으로 광주(廣州)에 있었는데, 현재는 서울 강남구 삼성동에 계비 정현왕후 윤 씨의 능과 함께 위치 ▣  폐비 윤씨 본관은 전주, 이름은 이혈. 세조의 손자.. 2023. 9. 30.
조선 전기 제8대 왕 예종: 짧은 재위와 정치 개혁 예종은 조선 전기의 제8대 왕으로, 그의 재위 기간은 1468년부터 1469년까지로 짧았습니다. 세조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아버지 세조가 사망한 후 19세에 즉위하였습니다. 그러나 예종은 재위한 지 1년 2개월 만에 생을 마감하게 되었습니다.  ※ 조선왕조 계보 더 보기  조선 제7대 왕, 세조: 왕권 강화와 문화사업의 중심세조는 조선의 제7대 왕이다. 1453년 계유정난을 일으키고 1455년 단종을 핍박하여 왕위를 물려받은 후 왕권 강화를 목적으로 육조 직계제를 시행했다. 경연을 없앴고 집현전도 폐지했다. 재위 초wh-heungbu.tistory.com 조선 9대 왕 성종의 지식과 문화 향상: '경국대전'과 관학 진흥의 중요성성종은 법제를 완비하여 '경국대전'과 '대전속록'을 완성하고, 토지의 세.. 2023.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