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부네] 지식 창고/역사 이야기

조선의 제4대 세종 대왕: 조선 발전을 이끈 위대한 국왕의 업적

by 흥부네 수호천사 2023. 9. 20.
반응형

세종은 조선의 4대 왕으로, 1418년 6월 왕세자로 책봉 후  8월에 즉위했습니다. 재위 기간은 국가 발전을 이끈 빛나는 시기였습니다. 집현전에서 인재를 양성하고, 의례와 제도를 정비하여 유교정치의 기반을 다졌으며, 풍부한 편찬사업을 실시했다. 농업과 기술, 의약, 음악, 법제 등 여러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고 국토 확장과 민족국가의 기초를 다지며, 훈민정음을 창제하는 등 중요 업적을 남겼습니다.

 

조선의 제4대 세종대왕(이도)의 배경과 위대한 업적

세종대왕 동상

 

 

배경

  • 1397년 5월 15일 ~ 1450년 4월 8일
  • 조선의 제4대(재위: 1418년 ~ 1450년) 왕
  • 묘호는 세종(世宗)이며, 능호는 영릉으로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로에 위치
  • 성군, 훈민정음, 집현전
 

조선 건국의 지혜, 집현전: 유교 국가의 학문 촉진

조선 전기에 학문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설립된 기관인 집현전은 조선 건국 이후 유교국가로서 필요한 유교 의례와 제도의 확립, 대명 사대관계의 정착을 위한 노력으로 세종이 1420년 궁중에 설

wh-heungbu.tistory.com

 

 

본관은 전주 출신이며 본명은 도, 조선시대 태어난 첫 임금이다.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 씨, 부인은 소헌왕후이고 심온의 딸이었습니다.

 

태종의 뒤를 이을 왕세자로 양녕대군이 있었으나 그의 부적절한 행동으로 태종의 마음이 변하고, 충녕대군을 왕세자로 삼기로 결정하였다. 이를 알게 된 신료들의 제안으로 양녕대군을 폐하고 충녕대군을 즉위시켰습니다. 세자 폐립에 관한 의론이 있었지만, 태종의 마음은 이미 충녕대군에게 기울어 있었고, 1418년 6월에 충녕대군이 왕세자로 책봉됨. 1418년 8월 10일 세종이 왕위에 올랐습니다.

 

 

※ 조선왕조 계보 더 보기

 

 

조선 제3대 왕 태종: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을 이룩한 주인공

태종은 조선의 제3대 왕으로, 건국 후 국가 고비에서 뛰어나게 활약한 인물입니다. 정도전을 제거하고 왕권을 강화하며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치하였고, 광범위한 문물제도를 정비하여

wh-heungbu.tistory.com

 

 

조선 문화와 군제 개혁의 기틀을 다진 왕, 조선 5대 왕 문종

문종은 조선 전기의 다섯 번째 왕이며, 세종 재위 동안 섭정을 하면서 정치 경험을 쌓았습니다. 문종은 학문을 즐기며 학자들을 존중하였으며 여러 서적을 편찬하는 등 문화 발전에 기여했습니

wh-heungbu.tistory.com

 

 

위대한 업적들

 

1. 유교정치의 기틀을 마련

 

  • 집현전: 많은 인재를 양성하고 유교정치의 기반이 되는 의례와 제도를 정비하였습니다.
  • 편찬사업: 다양하고 방대한 편찬사업을 실시하여 문화와 지식을 확장하였습니다. 세종이 주도하고 집현전과 여기에 소속된 학자들이 담당하였다.
  • 농업과 과학기술 발전: 농업과 과학기술 분야에서 발전을 이루어 민족경제를 강화하였습니다.
  • 의약기술과 음악: 의약기술과 음악 분야에서도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 법제 정리와 공법 제정: 법제를 정비하고 공법을 제정하여 국가의 기초를 다지고 국토를 확장했습니다.

세종은 태종의 왕권과 안정된 정치 기반을 이어받아 이를 발전시키며, 유교적인 정치를 추진하였습니다. 또한, 집현전을 통해 유교 학자를 양성하고 유교적 의례와 제도를 정비하는 데 주력하였습니다.

 

집현전은 세종대를 위한 중요한 기관으로 유교 학자를 양성하고 다양한 학술적인 활동을 지원하였습니다. 집현전 소속 관원들은 경연관, 서연관, 시관, 사관, 지제교 등 다양한 직책을 겸하며 주로 학문과 연구에 종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조선시대의 유교적 의례와 제도가 정리되어 유교정치의 기반이 마련되었습니다. 세종은 중국의 옛 제도를 연구하고 이를 조선의 실정에 맞게 수정하면서 주체성을 유지하였습니다.

 

 

2. 훈민정음 창제

훈민정음

훈민정음은 세종이 이룩한 문화유산 가운데 가장 빛나는 업적 중 하나입니다. 더불어 이것은 우리 민족의 문화유산 중에서도 가장 훌륭한 것으로 분류됩니다. 세종은 집현전에서 양성한 최항, 박팽년, 신숙주, 성삼문, 이선로, 이개 등의 소장 학자들과 협력하여 우리 민족의 문자를 창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시의 문화 의식과 수준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3. 다양한 분야에 기술 발전

 

세종 대왕 시대는 과학, 기술, 음악, 문화, 농업, 인쇄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 중요한 발전과 업적을 이룩한 시대입니다.

세종대왕 혼천의

천문학

  • 천문대와 천문관측기계의 개발 및 발전.
  • 대규모 천문의상(天文儀象) 제작과 관측 기록.
  • 혼천의(渾天儀)와 천구의(天球儀) 등 천체 관측기기의 제작.

세종대왕 장영실 물시계

 

 

시계 및 시간 측정

  • 해시계와 물시계의 제작.
  • 자격루(自擊漏)와 옥루(玉漏)의 제작.
  • 천문 시계와 관측을 위한 정확한 시간 측정 도구의 발전.

세종대왕 정간보

음악

  • 아악(雅樂)의 부흥과 음악의 제정.
  • 악기(樂器)의 개발과 생산.
  • 대곡(大曲) 작곡과 음악의 창작.
  • 정간보(井間譜)의 창안으로 음악 기록과 전달의 혁신.

세종대왕 금속활자

인쇄술

  • 청동활자의 개발과 사용.
  • 청동활자를 활용한 인쇄 기술의 발전.
  • 금속 활자와 인쇄 기술의 완성.

세종대왕 농사직설

농업

  • 농업기술의 개선과 농업서적의 편찬.
  • 농사법의 개량과 농업의 권장.

세종대왕 측우기

기타

  • 의약학의 발전과 의약서적의 편찬.
  • 음식과 한복의 발전.
  • 화약과 화기 제조 기술의 발전.
  • 측우기 발명.

세종 대왕의 지식과 열정은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과 발전을 이끌어 냈습니다. 그 결과로 조선시대는 다양한 분야에서 높은 수준의 문화와 기술을 보여주는 풍요로운 시대로 기억되고 있습니다.

 

 

4. 법전의 정비

 

세종대왕은 즉위 초반부터 법전의 정비에 노력했습니다.

 

형벌제도 개선

  • 율문(법조문)에 적합한 조목이 없는 경우에는 법률의 적용을 신중히 할 것을 강조했습니다.
  • 고문에 대한 형벌을 태배법(笞背法)을 금지하고, 의금부삼복법(義禁府三覆法)을 정하였습니다.

연령에 따른 형벌 제한

  • 15세 미만과 70세 이상인 자는 살인과 강도를 제외하고는 수금(잡아서 가두는 행위)하지 못하도록 하였습니다.
  • 10세 미만과 80세 이상인 자는 사죄(사형에 처할 범죄)를 범해도 수금하지 못하도록 했습니다.
  • 도죄인의 부모가 70세 이상인 경우, 노친의 소재지에서 복역하도록 규정하였습니다.

 

사회적 공정과 인권 보호

  • 남형(무분별한 형벌)을 금하고 주인을 살해한 노비는 관에 고해시행하도록 했습니다.
  • 도류(징역이나 귀양의 범죄)주의 죄인의 수속금(재물로 죄를 속죄)이 과중하다고 판단하여 빈민에게 감면을 부여하도록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 옥내(감옥)의 위생과 난방을 철저히 관리하여 병들어 사망하는 일이 없도록 신칙하였습니다.

 

공법 제정

  • 세종대왕은 공법(貢法)을 제정하여 전세제도(田稅制度)를 확립하였습니다.
  • 이를 위해 공법상정소(貢法詳定所)를 설치하여 연구와 시험을 거듭한 끝에 공법을 확정하였으며, 이것은 조선시대 세법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세종대왕은 법제 개혁과 인권 보호를 강화하며 조선의 법치주의와 민본주의를 강조하는 업적을 남겼습니다.

 

5. 불교의 대한 시책

 

세종대왕은 불교와의 관계에서 초기 지원 정책과 이후 제한 정책을 시행하면서, 불교와의 관계에서 변화를 겪었으며, 불교와 유교 사이의 갈등과 조화를 시도한 역사적 인물로 기억됩니다.

 

 

세종대왕(이도)의 대한 개인적인 생각

 

"우리나라 말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으므로 이런 까닭에 어리석은 백성이 이르고자 하는 바가 있어도 마침내 그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불쌍히 여겨 새로 스물여덟 글자를 만들었으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날로 씀에 편안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니라."

 

세종대왕은 역사적으로 가장 뛰어난 통치자 중 한 명이며, 다양한 분야에서 많은 업적을 남기고 한국사회와 문화에 기여한 공로는 널리 칭송받아야 합니다. 또한 우리 민족 역사에서 빛나는 시대가 될 수 있었던 이유는 정치적 안정 기반 위에 훌륭한 신하와 학자들의 역할이 중요하며, 이들의 지원은 세종의 뛰어난 인격적 특징과 역량을 기반으로 가능했다고 생각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