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부네] 지식 창고/역사 이야기

왕자의난, 방원의 난: 정도전의 권력다툼과 왕위 계승

by 흥부네 수호천사 2023. 9. 19.
반응형

태조 7년 처음 발생했던 왕자의 난이며, 일명 방원(芳遠)의 난 또는 무인정사(戊寅定社), 정도전(鄭道傳)의 난이라고도 한다.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왕자 간의 싸움인 동시에 정도전 일당과 방원 일당의 권력다툼이기도 하다.

 

 

왕자의 난 - 왕위계승을 위한 권력다툼

태종 이방원

 

※ 조선왕조 더 보기

 

☞ 조선 제3대 왕 태종: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을 이룩한 주인공

 

조선 제3대 왕 태종: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을 이룩한 주인공

태종은 조선의 제3대 왕으로, 건국 후 국가 고비에서 뛰어나게 활약한 인물입니다. 정도전을 제거하고 왕권을 강화하며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치하였고, 광범위한 문물제도를 정비하여

wh-heungbu.tistory.com

 

반응형

 

1차 왕자의 난(방원의 난)

 

  • 조선 건국 이후, 국가의 통치질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개국공신들의 지위가 급격히 상승하였습니다. 특히 1393년(태조 2년)에 설립된 의흥삼군부를 시작으로 정도전을 중심으로 병권집중운동과 중앙집권화 정책이 권력구조에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 이로 인해 정도전은 개국공신 중에서도 두드러지게 부상하였지만, 다른 훈신(勳臣) 및 왕실세력과 무장세력은 정치의 중심에서 멀어지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1398년 이후 진법훈련의 강화로 왕자들, 종친, 그리고 다른 훈신 및 무장세력이 가지고 있던 사병에 대한 통수권이 해체되면서 양파의 대립이 극에 달하였습니다. 그 가운데 가장 두드러진 대립은 방원과 정도전 간의 것이었습니다.

 

  • 태조는 전 왕비 한 씨와 여섯 아들을 두었고, 계비 강 씨와의 사이에서 두 아들을 두었습니다. 방원은 한 씨 소생 중 다섯째 아들로, 그의 야심과 공로로 인해 개국에 큰 기여를 했지만, 정도전과 같은 유신들의 견제를 받게 되었습니다. 이에도 불구하고 방원은 책봉되지 못하고, 세자 책봉 경쟁에서도 탈락하였습니다.

 

  • 태조는 세자 책봉 시에 일곱째 아들인 방번을 선택하려 했으나 공신들은 방원의 세자 책립을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결국 여덟째 아들 방석을 세자로 책봉하고 정도전에게 세자 보도의 책임을 맡겼습니다. 이로 인해 한 씨 소생 왕자들, 특히 방원과 그의 추종자들은 큰 불만을 품게 되었습니다. 방원은 권력에서 밀려나고, 진법훈련으로 사병 통수권이 제한되면서 세력 기반을 잃는 위기에 처했습니다.

 

  • 이에 방원은 정도전, 남은, 심효생 등이 반대파를 제거하고 한 씨 소생 왕자들을 살육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는 소문을 퍼트리며 군대를 동원하여 반대파를 공격하였습니다. 이숙번 등 사병을 동원하여 정도전, 남은, 심효생, 박위, 유만수, 장지화, 이근 등을 갑자기 습격하여 살해하고, 세자 방석을 폐위하며 방석의 동복형인 방번도 함께 죽였습니다.

 

  • 이렇게 방원은 정적을 제거하고 정치 정세를 크게 바꾸었습니다. 왕자 종친과 조준 등의 개국공신들이 권력을 잡았으며, 방원 일당은 정사공신으로 인정받아 정치적 실권을 확보하였습니다. 이렇게 제1차 왕자의 난은 국가의 통치질서를 확립하는 과정에서 방원이 권력을 확보하기 위해 일으킨 정변이었습니다. 정도전의 중앙집권화 정책은 방원의 요구에 따라 즉위 이후에도 계속되며, 권력구조가 변화하였습니다.

2차 왕자의 난(방간의 난)

  • 1차 왕자의 난 이후 불안정한 상황에서 나타난 것이 박포의 등장이었습니다. 박포는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등이 이방원을 제거하려 한다는 내용을 널리 알리는 데 기여한 인물로, 난의 성공에 큰 공을 했습니다. 그러나 논공행상의 과정에서 일등공신으로 오르지 못해 불평하다가 죽주로 귀양보내졌습니다.

 

  • 박포의 불만은 이방간에게 영향을 미치며, 이방간은 이방원에 대한 불평을 품게 되었습니다. 박포는 거짓 소문을 퍼뜨려 이방간을 혼란스럽게 하고, 이방원의 의도적인 공격을 더욱 자극했습니다. 이로써 이방간은 자신의 사병을 동원하여 개성 시내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이게 되었고, 결국 이방원이 승리하며 두 사람은 체포되었습니다. 이방간은 유배되고, 박포는 사형당했습니다.

 

  • 제2차 왕자의 난을 통해 이방원은 반대세력을 거의 소멸시키고, 정치적 영향력을 강화하였습니다. 그 결과, 이방원의 왕세제 책립은 거의 확정되었고, 정종은 태조의 허락을 구하여 1400년 2월 이방원을 왕세제로 책봉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제2차 왕자의 난은 왕위 계승을 둘러싼 왕자들 간의 싸움에서 비롯한 것이었지만, 이방원의 정치적 세력을 더욱 강화하며, 태종 시대의 왕권 강화와 제도개혁을 가능하게 한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방원은 제2차 왕자의 난도 성공으로 이끌었다. 이어 조선 제3대 왕위에 올라 강력한 왕권을 행사하면서 통치질서를 확립하였다.

 

결과적으로, 제도 개혁은 사병의 혁파와 도평의사사 폐지, 의정부 설립, 승정원의 출납 정리 등으로 나타났으며, 제2차 왕자의 난은 이러한 개혁을 가능하게 하며 국가의 통치 구조를 더욱 강화하는 데 일조한 중요한 사건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