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부네] 지식 창고/역사 이야기

조선 2대 허수아비 왕: 정종의 통치 업적

by 흥부네 수호천사 2023. 9. 19.
반응형

정종은 조선 전기의 두 번째 왕으로 1398년에서 1400년에 재위했습니다. 허수아비 왕으로 알려진 그는 왜구의 침략을 무력으로 물리치며 조선 건국 초기에 큰 공로를 쌓았고, 제1차 왕자의 난 시기에 세자로 책봉되었습니다. 사병 혁파, 행정개혁, 노비변정도감 설치 등의 업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후에는 왕위를 태종에게 양보하며 천수를 다한 왕입니다.

 

 

조선 2대 정종 이방과의 배경과 업적

조선2대왕 정종

 

 

배경

  • 1357년 07월 26일 ~ 1419년 10월 24일
  • 조선의 제2대(재위: 1398년~1400년) 왕.
  • 묘호(廟號)는 정종(定宗), 능호는 후릉(厚陵)으로 경기도 개풍군 흥교면 흥교리에 위치

1398년에서 1400년에 재위한 조선의 제2대 왕으로, 태조의 둘째 아들로 본관은 전주이며 이름은 경이고, 초명은 방과였습니다. 그의 자는 광원이었고, 어머니는 태조의 왕후인 신의왕후 한씨였습니다.

 

정종의 비인 정안왕후는 김천서의 딸이었습니다. 성품이 순직하고 근실하며 행실이 단엄하고 방정하면서 군사상의 책략도 지녔습니다. 조선 초기인 1377년 5월부터는 이성계와 함께 지리산에서 왜구도 토벌했습니다.

 

 

조선왕조 계보 더 보기

 

 

조선의 1대 왕 개국 영웅, 용장, 명장: 태조 이성계의 위대한 업적

조선 개국자로서 고려 시대의 전쟁 영웅이자 최강 군인으로 전해진 이성계. 무조건 베어죽이지 않고 적군을 항복시키는 관대한 성품을 지니며, 전설적인 용장과 명장으로 인정받았다. 정도전,

wh-heungbu.tistory.com

 

 

 

조선 제3대 왕 태종: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을 이룩한 주인공

태종은 조선의 제3대 왕으로, 건국 후 국가 고비에서 뛰어나게 활약한 인물입니다. 정도전을 제거하고 왕권을 강화하며 의정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 통치하였고, 광범위한 문물제도를 정비하여

wh-heungbu.tistory.com

 

반응형

업적

 

정종은 조선 초기에 많은 어려움을 극복하고 국정을 개혁하는 데 큰 기여를 한 왕 중 하나였습니다.

 

1. 왜구의 위협에서 방어: 1388년에는 정종이 순군부만호로, 도만호 왕안덕과 함께 염흥방의 옥사를 국문하며 국가 방어에 헌신했습니다. 그 해 7월에는 절제사 유만수와 함께 해주에 침입한 왜적을 퇴치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2. 공양왕 옹립: 1390년 1월, 정종은 창왕을 폐하고 공양왕을 옹립하는 과정에서 큰 역할을 하였습니다. 그로 인해 추충여절익위공신에 책록 되고 밀직부사에 임명되었습니다.

 

3. 국정개혁의 주역: 정종은 국정개혁에도 노력했습니다. 그는 밀직부사로 지밀직사사 윤사덕과 함께 왜적을 격파하고 판밀직사사 및 삼사우사 등의 중요한 직책을 역임했습니다.

 

4. 영안군에 봉해짐: 1392년, 조선왕조가 개국하면서 정종은 영안군에 봉해졌습니다. 그는 의흥친군위절제사와 의흥삼군부중군절제사로 진급하여 군사분야에서도 활약했습니다.

 

5. 왕위 계승과 국정개혁: 1398년 8월, 정종은 제1차 왕자의 난이 성공하면서 세자 책봉문제에 직면했습니다. 비록 처음에는 반대하였지만, 정안군의 양보로 세자가 되었습니다. 이후 1개월 뒤에는 태조의 양위를 받아 왕위에 오르게 되었습니다.

 

6. 국정개혁과 지적 활동: 정종은 국정개혁뿐만 아니라 문화와 지식 분야에서도 활발한 활동을 했습니다. 집현전을 설치하고 장서와 경적의 강론을 주도하며 『향약제생집성방』을 편찬하였습니다. 조례상정도감을 설치하여 관인의 권력을 제한하는 등 국가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7. 후위 생활: 왕위에서 물러난 후, 정종은 후위 생활을 즐기며 상왕으로서 인덕궁에서 여유로운 시간을 보냈습니다. 태종과의 우애를 유지하며 천명을 다한 뒤 평온한 삶을 살았습니다.

 

 

 

정종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

 

국가방어 및 국정개혁 등 업적을 가지고 있지만 재위 기간이 짧았고 실권이 거의 없던 인물로 허수아비 왕이었다고 생각되며, 대중매체에서도 주로 유약한 모습으로 묘사되고 비중도 낮았습니다. 비전도 부족했고 권력에 대한 욕망이 없어 군주로서는 적합하지 않았던 것으로 생각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