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흥부네] 지식 창고/역사 이야기79

조선 시대 노비 출신의 과학기술자 장영실: 주요 제작품에 업적과 배경, 평가 장영실은 조선의 기술자로 노비 출신이지만 조선 3대 태종이 재주를 인정하여 발탁하였고, 세종 때 중용하여 많은 제작품과 업적을 남기게 되었다. 우리에게 해시계와 물시계, 측우기 등으로 유명한 과학기술자 장영실에 대해 알아보겠다.  [목차여기] 조선시대 과학기술자 장영실의 배경출생과 사망1385? or 1390? 년(1393년생이란 기록이 발견되었지만 정확하지 않음.) 정도의 출생을 하였고, 사망 시기도 알 수 없음, 고려 경상도 동래(현재 경상남도)주요 업적자격루(물시계), 측우기(강우량 측정 기구), 앙부일구(해시계), 간의(천체 관측 기계) 등 아버지는 원나라 유민으로 소주·항주 출신이고, 어머니는 동래현의 기생이었다고 한다. 장영실도 동래현의 관노이나 뛰어난 재주를 인정받아 조선 3대 왕인 태종이 .. 2024. 4. 23.
소파 방정환: 어린이날의 창시자, 성장 배경과 업적, 일대기 요약 방정환은 일제강점기의 독립운동가이자, 아동문화운동가, 어린이 교육인, 사회운동가이며 어린이날의 창시자이다. 한국 근대사에서 아동 및 청소년의 인권을 연구 진흥시킨 선구자이며, 아동교육과 아동문학의 상징이 되는 작가들 중 하나이다. 소파 방정환의 성장 배경과 업적, 일대기를 정리해 보자!  [목차여기] 소파 방정환의 배경출생과 사망: 1899년 11월 9일 ~ 1931년 7월 23일(31세)직업: 아동문학가, 독립운동가, 사회운동가학력: 일본 도요 대학교 철학과 중퇴종교: 천도교 방정환은 1923년 어린이의 인격 및 행복 추구를 위해 기념하기 시작하였고, 그때 시작한 어린이날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본관은 온양이며, 호는 소파를 사용하고 31세라는 이른 나이에 오랜 질병과 과로로 인한 신장염으로 .. 2024. 4. 13.
태극기의 유래, 태극 문양과 건곤감리(4괘) 뜻, 태극기 제작 법 내가 어릴 때 골목길에는 국경일에 집집마다 태극기가 바람에 펄럭이고 있었던 기억이 있다. 지금도 없다는 건 아니지만 현저하게 줄어든 건 사실이다. 얼마 전 태극기를 그릴 일이 있었는데, 건곤감리의 위치가 아리송한 상황이 발생했다. 아~ 태극기도 정확히 그리지 못하는 건가?라는 생각에 태극기에 대해서 알아보게 되었고, 절대 이런 일은 발생하지 않도록 하자고 다짐하면서 태극기의 유래 및 태극 문양과 건곤감리 4괘 뜻과 제작법도 같이 알아보게 되었다.  [목차여기] 태극기의 유래우리나라는 조선시대 후기까지 국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나라였다. 처음 논의가 된 부분도 조선시대 후기 운요호사건을 계기로 일본 국기가 계양되어 있는데, 조선이 공격하였다는 주장을 하면서 국기제정의 필요성을 갖게 되었다. 1882년 8월.. 2024. 3. 1.
고려의 명장 강감찬 장군: 귀주 대첩, 고려-거란 전쟁과 업적 고려의 명장이었던 강감찬 장군은 서북면행영도통사, 상원수대장군, 문하시중 등을 역임한 고려시대 전기의 문신이다. 요나라의 소배압(蕭排押)이 10만 대군을 이끌고 침공하자 상원수대장군으로서 귀주에서 큰 승리를 거두었다. 귀주대첩이라 불리는 이 큰 승리 이후 요나라(거란족)와 평화적인 외교관계가 형성된다.   [목차여기] 고려의 명장 강감찬출생과 사망: 948년 12월 27일 ~ 1031년 9월 15일고려 전기에 서북면행영도통사, 상원수대장군, 문하시중을 역임한 문신어린 시절 이름은 강은천, 과거 급제 이후 강감찬으로 개명본관은 금주, 경주에서 금주로 이주해 호족으로 성장한 강여청의 5대손이며, 아버지는 왕건을 도와 후삼국 통일에 이바지한 삼한벽상공신 강궁진이다.   출생과 관직 생활의 시작948년 12월에.. 2024. 2. 6.
원효대사 해골물: 삼계유심, 일체유심조-마음먹기에 달렸다. 원효대사 하면 해골물이라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다. 어느 시대냐 뭘 했던 사람이었냐 보다 그냥 옛날 승려였고, 원효대사 해골물로 인한 일체유심조가 '마음먹기에 달렸다'라는 정도일까? 오늘은 원효대사에 대해서 출생부터 깨달음의 시간과 사망, 그리고 삼국시대에 끼친 영향까지 알기 쉽고 간략하게 알아보겠다.  [목차여기] 원효대사출생과 사망: 617년(진평왕 38년) ~ 686년 4월 28일신라시대의 고승으로, 성을 설씨 원효는 법명이며, 아명은 서당 or 신당경상북도 경산시에서 출생하였고, 출신이 확실하지 않지만 뼈대 있는 집안이라고 추측되며 왕족(진골)은 아님 원효대사의 어린시절어머니 조 씨가 유성이 품속으로 드는 것을 보고 원효를 임신하였고, 밤나무 아래를 지나다가 낳았는데 그때 오색구름이 땅을 뒤엎었다.. 2024. 2. 3.
세종대왕 훈민정음: 유네스코 지정, 10월 9일 한글날의 역사 훈민정음은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도 등재된 세종대왕 때 만들어진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언어이다. 한글날이 왜 10월 9일이 되었는지? 법정 공휴일로 지정된 한글날의 역사에 대해 알아보겠다.  [목차여기] 훈민정음이란?'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란 뜻이며, 1446년 세종대왕이 공포한 한국의 국자 또는 해설한 책의 이름을 말한다.    한글날의 역사를 연도별로 알아보자!한글날을 우리는 그냥 휴일로만 생각하고 살아가고 있는데, 세계에서 가장 훌륭하고 합리적인 과학적인 언어로 인정받고 있다. 한글날은 한글을 창제하고 펴낸 날이며, 우리 글자가 만들어진 우수성을 기리는 날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1397년 출생세종대왕(이도) 출생.1446년 훈민정음 반포음력 9월 10일 훈민정음 반포.1926년 훈민정음 .. 2024. 2. 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