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을 얘기할 때는 잘 느끼지 못하지만 글을 쓴다면 한글 맞춤법 중에 가장 많이 헷갈리는 글자가 있다. 바로 매번 고민 한 번쯤은 하는 돼 vs 되 인데, 오늘 100% 틀리지 않고 쓰는 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목차여기]
한글 맞춤법 돼 vs 되 구분 방법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을 수 있겠지만, 첫 번째 방법은 돼는 되어의 줄임말이기에 줄이지 않은 단어를 썼을 때 의미가 전달이 되어야 한다.
예) 이렇게 하시면 안 되요 vs 안 되어(돼)요.
-> 이렇게 하시면 안 돼요.(O), 이렇게 하시면 안 되요.(X)
안되어요를 넣었을 때 의미가 전달된다면, 돼가 맞는 표현이다.
두 번째 방법은 돼는 '해', 되는 '하'로 바꿔서 말해보는 것이다. 바꿔서 말했을 때 말이 되는 게 정확한 표현이다.
위에 설명 문장을 예로 들어보겠다.
예) 바꿔서 말했을 때 말이 되(하)는 게 (O), 바꿔서 말했을 때 말이 돼(해)는 게 (X)
말이 하는 게와 말이 해는 게로 본다면 해는 게는 맞지 않기에 '하'가 맞는 표현이어서 '되'를 쓰는게 맞다.
일상에서 항상 쓰고 있는 한글을 사용 시에 맞춤법으로 고민했던 적 있으시다면, 오늘부터 돼와 되에 사용에 대해서는 완벽하게 사용 가능하겠죠?
'[흥부네] 지식 창고 > 건강 및 생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월 14일은 무슨 날일까? 포틴데이 기념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3.20 |
---|---|
MBTI 검사가 무엇인지?: 유행 배경과 알파벳 의미, 결과 유형 정리 (0) | 2024.02.26 |
2024년 2월 29일: 윤날, 윤달, 윤년이 있어야 하는 이유와 주기의 이해 (0) | 2024.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