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이방원과 정몽주: 하여가와 단심가

by 흥부네 수호천사 2023. 10. 15.

이성계(태조)가 위화도 회군을 하였을 때 이방원(태종)이 고려 충신 정몽주의 진심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회유하려고 읆은 시「하여가」이며, 이에 정몽주는 「단심가」로 답하였다.

 

하여가와 단심가

 

「하여가」

 

《이런들 어떠하며 저런들 어떠하리. 만수산 칡넝쿨이 얽혀진들 그 어떠하리. 우리도 이같이 얽혀 한평생을 누리니.》

 

이방원이 정몽주에 생각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고 회유하기 위해 읆은 시이다.

옳고 그름을 따지지 말고 우리 모두 오랫동안 잘 살아보자 라는 뜻.

 

 

「단심가」

 

《이 몸이 죽고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 백골이 진토되어 넋이라도 있고 없고, 임 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이방원에 「하여가」 에 대한 답으로 정몽주가 읆은 시이며, 기울어져가는 고려를 지키려는 충심과 두 왕조를 섬기지 않겠다는 신념 보여주는 뜻.

 

 

 

결국, 같이 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린 이방원이 조영규(개국공신)와 모의하여 개성 선죽교에서 이방원에 부하와 조영규가정몽주를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 조선왕조 더 보기

▣  조선 제3대 왕 태종: 왕권 강화와 중앙 집권을 이룩한 주인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