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부네] 지식 창고/건강 및 생활 이야기

서대와 박대의 차이: 서해와 남해를 즐기는 생선의 매력

by 흥부네 수호천사 2024. 9. 3.

서대와 박대는 한국의 서해와 남해에서 흔히 잡히는 생선으로, 각각의 특성과 생태적 차이로 인해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 두 어종은 비슷한 듯하지만 명확한 차이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전통적인 식문화에서도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생선입니다.

 

 

[목차여기]

서대와 박대의 차이

서대

서대

 

가자미목에 속하며, 일반적으로 "참서대"라고 불립니다. 이 생선은 몸이 납작하고 옆으로 길쭉한 형태(약 30cm)를 띠고 있으며, 눈이 몸의 왼쪽에 몰려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서대는 주로 서해와 남해의 모래바닥에서 서식하며, 여름철에 맛이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서대는 회무침, 생선조림, 또는 밀가루를 입혀 전으로 구워 먹는 등 다양한 조리법으로 즐길 수 있습니다. 서대의 살은 지방이 적고 콜라겐이 풍부하여 미용식품으로도 인기가 있습니다.

박대

박대

 

"박대기"라고도 불리며, 참서대과에 속하지만 서대와는 다른 어종입니다. 박대는 얇고 길쭉한 형태(약 40 ~ 70cm)로, 서해와 남해 서부 해역에서 주로 서식합니다. 박대는 특히 군산, 서천군, 보령시의 특산물로 유명하며, 겨울철에 특히 인기가 높습니다. 생선 비린내가 적고 육질이 단단해 생으로 구워먹거나 반건조 상태로 찜이나 국거리로 사용됩니다. 박대의 껍질은 콜라겐이 풍부하여 묵으로 만들어 먹기도 합니다.

 

서대와 박대의 관련된 이야기

한국의 전통 문헌에서는 서대와 박대에 대한 다양한 기록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서대는 "설어(舌魚)"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조선시대의 문헌에서 서대류에 대한 기록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이수광이 쓴 『지봉유설』에서는 서대를 포함한 가자미류를 "접어(鰈魚)"로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당시의 해양 생물에 대한 이해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대는 날것으로 먹거나 건어물로 사용되었으며, 이는 오늘날에도 이어지고 있는 전통적인 식문화입니다.

 

 

박대의 관련된 이야기를 살펴보면, 눈과 눈 사이가 좁아 '눈치만 보다가 박대 눈 된다', '어머니에게 눈 흘기면 박대 눈 된다'라는 속담도 있습니다. 또한, '문전박대'를 당한다는 말도 손님을 문 앞에서 푸대접한다는 뜻에서 박대라는 말이 붙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출가한 딸에게 먹여주면 친정을 못 끊는다 할 정도로 맛있는 생선이며, '전어는 시어머니가 박대는 친정 엄마의 한 수'라고 할 정도이다.

 

서대와 박대 즐기기

서대와 박대는 비슷한 환경에서 서식하지만, 그들의 생태적 특성과 조리법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입니다.

여름철 서대

서대는 여름철에 맛이 가장 좋고, 회무침이나 전으로 자주 먹으며, 특히 소금구이는 서대의 담백한 맛을 가장 잘 느낄 수 있는 요리법으로 서대 특유의 부드러운 살이 고소하게 구워져 입안에서 살살 녹습니다. 이 외에도 서대는 조림으로도 인기가 많으며, 양념이 잘 배어들어 간 서대는 밥반찬으로 제격입니다.

겨울철 박대

박대는 겨울철 특산물로, 주로 구이와 찜, 그리고 박대묵으로 소비됩니다. 찜이나 구이로 먹으면 그 맛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박대는 기름기가 적당히 있어 구이로 했을 때 고소한 맛을 내며, 찜으로 만들 경우 탄력 있는 살이 입안을 풍성하게 채워줍니다. 또한, 박대는 건어물로도 인기가 높아, 오래 두고 먹을 수 있는 간편한 간식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서대와 박대는 모두 저지방, 고단백 식품으로, 건강한 식단을 구성하는 데 매우 유용합니다. 특히 이 두 생선은 반건조된 상태로 유통되는 경우가 많아,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고 조리 시에도 간편하게 준비할 수 있습니다. 서대와 박대는 한국 전통의 맛을 담고 있으며, 밥과 함께 먹으면 더욱 맛있는 한 끼 식사를 즐기실 수 있습니다. 

 

부드럽고 담백한 서대와 단단하고 고소한 박대는 한국인의 밥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생선으로, 서해와 남해에서만 볼 수 있는 생선의 매력에 빠져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