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흥부네] 지식 창고/오늘의 퀴즈

새 상품이 주류시장으로 넘어가는 중간 과정에서 수요가 정체되는 현상

by 흥부네 수호천사 2024. 4. 22.

Q. 새로운 상품이 시장 진입 초기 단계부터 대중화되어 주류시장으로 넘어가는 중간과정에서, 수요가 정체되는 현상을 OO현상이라고 해요. '간격', '깊은 구멍'을 뜻하는 단어에서 왔어요.

 

 

수요가 정체되는(Chasm) 현상이란?

 

첨단기술이나 어떤 상품이 개발되면 초기시장과 주류시장으로 진입하기까지의 사이에는 일시적으로 수요가 정체되거나 후퇴하는 단절현상을 거치게 된다는 것을 뜻한다. 특히 첨단기술제품의 경우 혁신성을 중시하는 소비자

(early adopter, 얼리어답터)가 주도하는 초기시장과 실용성을 중시하는 일반 소비자가 주도하는 주류시장으로 진입하기 전까지의 기간 동안에 일시적으로 수요가 정체되기 때문이다.

 

첨단기술을 보유해 성장성이 보였던 일부 벤처기업들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쇠퇴하는 경우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캐즘을 극복하지 못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이 단계를 넘어서야 기술범용화를 거쳐 일반대중에게 확산되고 시장 전체를 아우르는 파급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단계로 돌입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 용어는 미국 실리콘밸리의 첨단기술 컨설턴트인 제프리 A. 무어가 1991년 미국 벤처업계의 성장과정을 설명하는 데 적절한 이론으로 차용하면서 마케팅 이론으로 확립되었다. 캐즘은 원래 지각변동 등에 의해 지층 사이에 균열이 생겨 서로 단절된 것을 뜻하는 지질학 용어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캐즘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정답은 '캐즘' 입니다.